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정보꾸러미

백신 접종증명 음성확인제

by 프론티어7007 2021. 11. 4.
반응형

단계적 일상 회복 1단계 시행으로 많은 분들이 다시 예전의 일상으로의 회복을 기대해 볼 수 있게 되었어요. 백신 접종을 완료하신 분이나 미접종이신 분 모두 그 혜택을 함께 누릴 수 있어야겠죠? 이를 위해 도입한 것이 바로 백신 패스인데요. 오늘은 백신 접종증명 음성확인제 시행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백신 접종증명 음성확인제

백신 접종증명 음성확인제 시행 대상 업종으로는 유흥시설과 경마/경륜/경정/카지노, 실내 체육시설, 노래연습장, 목욕장, 의료기관, 요양시설 면회, 노인/장애인 이용시설이에요. 각 업종별 적용 기준이 달라서 확인이 필요하다는 점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출처 : 질병관리청]

위에서 언급해 드린 업종의 시설을 이용하실 경우 우선 백신 접종을 완료하신 분의 경우는 어디든 이용이 가능하세요. 반면 아직 백신 접종을 완료하지 못하신 경우는 PCR 음성 확인서를 받으실 필요가 있어요.

여기서 주의할 점은 유흥시설의 경우는 PCR 음성 확인서의 유무와 무관하게 백신 접종을 완료하지 못하신 분은 이용이 제한되니 참고하세요. 그 외의 노래연습장이나 목욕장, 의료기관 및 요양시설의 면회 시에는 백신 미접종자의 경우도 48시간 이내 발급받은 PCR 음성 확인서가 있으면 언제든 이용이 가능해요.

 

▶ 접종증명 음성확인서 어디서 준비할 수 있나요? 

접종 완료자의 경우는 접종 완료일로부터 14일 이후부터 발급받을 수 있어요. 전자증명서종이증명서, 예방접종 스티커 중 어느 것을 이용하셔도 되고 행정복지센터 나 접종기관에 직접 방문하시거나 COOV 어플 등을 통해 발급받으실 수 있어요.

 

미접종자의 경우는 PCR 음성 확인서가 필요해요. 음성 확인서는 결과 통보받은 시점으로부터 48시간 되는 날 자정까지 유효하며 PCR 음성 확인 문자나 종이증명서를 통해 증명이 가능해요. 

 

일반 식당 및 카페에서도 접종증명 음성확인서 필수인가요?

[출처 : 질병관리청]

일반 식당이나 카페의 경우는 접종증명 음성확인제 필수 업종에 포함되지는 않아요. 하지만 사적모임 인원 제한으로 식당이나 카페에서 방문 일행의 인원수 확인을 위한 접종증명 제시를 요구할 수 있어요. 이는 미접종자 4인을 포함하여 수도권 최대 10인 비수도권 최대 12인을 넘어서 사적 모임을 할 수 없기 때문이에요.

 

접종 완료자만 유흥시설 이용 가능?

[출처: 질병관리청]

유흥시설의 경우는 접종 완료자에 한해서만 이용이 가능해요. 전자 접종 증명은 질병관리청 어플인 COOV, 네이버, 카카오 등을 통해 발급이 가능하며 종이 증명서나 예방접종 스티커는 접종기관 및 보건소, 주민센터 방문을 통해 발급이 가능해요.

 

PCR 음성 확인서 유효기간은?

[출처: 질병관리청]

PCR 음성 확인서는 결과를 통보받은 시간으로부터 48 시간 되는 날의 자정까지만 유효해요. 종이 음성 확인서뿐만 아니라 PCR 음성 확인 문자로도 증명이 가능하니 이점은 참 편리하다고 할 수 있네요.

외재 진료 시 증명서류가 필요할까요?

[출처: 질병관리청]

의료기관이나 요양병원 및 요양시설의 경우는 입원환자나 입소자 면회 시 방문하는 사람에 한해서만 증명서류가 필요해요. 외래 진료 시에는 별도의 증명서류가 필요하지 않아요.

접종증명 음성확인제 예외 적용

접종증명 음성확인제 예외적용 대상으로는 코로나19 확진 후 격리해제자(완치자)와 백신 1차 접종 후 중대한 이상반응이 발생해 2차 접종이 연기 또는 금기된 사람, 면역결핍, 면역억제자, 항암제 투여로 인한 접종 연기가 필요한 사람이 있어요.

코로나19 확진 후 완치된 경우는 확진 격리 해제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신분증을 지참하고 보건소를 방문하시면 격리 해제 확인서를 발급받으실 수 있어요.

백신 1차 접종 후 이상반응자나 면역결핍 등으로 백신 접종이 연기 또는 금지되신 분들은 보건소에서 접종증명 음성확인 예외 확인서를 발급받아 시설을 이용하실 수 있어요.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앞으로도 유익한 생활 속 정보로 찾아뵐게요.

 

내용 및 이미지 출처 - 질병관리청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