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정보꾸러미

폐렴구균 무료 예방접종 정보 : 65세 어르신

by 프론티어7007 2021. 10. 14.
반응형

65세 어르신 폐렴구균 무료 예방접종 정보 참고하세요.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지난 6월 전국의 65세 이상 어르신들 대상의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민간 병˙의원까지 확대하여 시행한다고 밝혔는데요.

국내 사망 원인 중 3위를 차지할 만큼 위험한 폐렴은 65세 이상 어르신에서는 뇌수막염이나 심내막 등의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더욱 더 주의가 필요한 질병이라고 해요.

 


◈ 65세 이상 어르신 무료 폐렴구균 예방접종

65세 이상 어르신 중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하지 않으신 분들은 6월 22일(월)부터 12월31일(목)까지 주소지에 관계없이 지정된 민간 병˙의원 및 보건소에서 무료 폐렴구균 예방접종이 가능하세요.

 

◈ 무료 예방접종 대상

65세 이상 어르신(1955년 12월31일 출생자) 중 23가 다당 백신을 한번도 접종하지 않으셨다면 무료 폐렴구군 예방접종 대상자에 해당된다고 해요.

 

◈ 65세 이전에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했다면?

˙ 65세 미만 연령에서 23가 접종을 한 경우에는 5년 경과 후 65세 이상이 되는 시점에 추가 폐렴구균 예방접종(23가)을 하시면 돼요.

˙ 65세 미만 연령에서 13가 접종을 하신 경우는 접종간격 1년 (최소 8주) 경과 후 65세 이상이 되는 시점에 추가로 23가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하실 수 있어요.


폐렴구균이란?

[출처 : 미디어데일]

급성 중이염이나 폐렴 및 수막염 등의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 중 하나이며, 호흡기 비말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되거나 균을 가진 사람의 손이나 다른 신체에 묻은 병원균이 입으로 들어가 전파가 된다고 해요.

 


▶ 폐렴구균 감염 증상


 - 성인의 경우는 폐렴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고,

소아에서는 중이염이나 부비동염, 폐렴 및

패혈증 등으로 증상이 나타나요.

 


페렴구균 예방방법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통해

감염증 발생을 줄일 수 있어요.

 


▶ 백신에 따른 대상자 구분과 접종이 필요한 연령별 기저질환

 

[출처 : 질병관리청]

(1) 단백결합 백신(10가, 13가) 접종 대상자

  생후 2개월에서 59개월의 소아와 5세 이전에 접종 받지 않은 5세 이상의 소아청소년 중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 60~71개월의 만성질환 및 면역저하 상태의 소아

  ˙ 면역저하, 무비증, 뇌척수액 누출, 인공와우 이식 상태에 있는 6~18세 소아청소년

  19세 이상 성인 중에도 면역저하, 무비증, 뇌척수액 누출, 인공와우 이식 상태에 있다면 단백결합 백신 접종.

 

(2) 다당 백신(23가) 접종 대상자

˙ 2세 이상 고위험군인 소아청소년과 성인

˙ 65세 이상 노인

 


◈ 폐렴구균 예방접종 예약 방법

폐렴구균 접종 예약은 사전에 의료기관에 연락해 사전 예약으로 방문 시간을 정하면 되는데요. 관할 보건소에 문의하시거나 예방접종 도우미 누리집 또는 어플을 통해 예방접종ㅇ 가능한 의료기관을 찾아보실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앞으로도 생활 속 유익한 정보로 찾아뵐게요.

 

내용 및 이미지 출처 - 질병관리청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