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정보꾸러미

눈 이물감 있는 결막염 증상과 예방법 참고하세요

by 프론티어7007 2021. 9. 23.
반응형

일상생활을 하면서 눈이 뻑뻑하게 느껴지거나 눈에 뭔가가 들어간 듯한 경험을 해보신 적 있으시죠? 실제로 눈에 뭔가가 들어가지는 않았지만 무언가 있는 듯한 느낌. 이러한 증상을 눈 이물감이 있다고 하는데요 

대부분의 경우 안구건조증을 원인으로 들 수 있지만 간혹 결막염 증상일 수 있으니 결막염 증상과의 비교를 통해 적절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을 것 같아 이렇게 정리해 봤어요

 

결막염이란?
(출처 : 다음 백과)

결막염이란 세균이나 자외선, 먼지 등에 의해 안구 외부를 감싼 점막 조직인 결막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해요

원인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략 1주가량의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나타하고 발병 후 3~4일을 고비로 증상이 심해졌다가 20일 정도 지나면 급성 증상은 사라져요

 

그럼 이제 눈 이물감 있는 결막염 증상과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눈 이물감을 동반하는 유행성 결막염

직장이나 학교 같이 단체 생활을 하는 분들은 남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유행성 감염병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데요 이는 감염에 따른 전파력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인데요 요즘 같은 시기에는 감염에 의한 전파를 더욱더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유행성 각결막염

[출처 : 질병관리청]

유행성 각결막염은 아데노 바이러스 8형과 19형, 37형에 의해 결막이 감염된 것으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병되는 경우가 많다고 해요 주로 유행성 각결막염에 걸린 환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이나 환자가 사용한 물건을 통해 전파가 되고 수영장이나 목욕탕 등에서 물을 통해 전파되기도 한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유행성 각결막염 증상 (눈 이물감, 통증 등) 

[출처 : 질병관리청]

5~12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발병되며 눈 이물감이나 통증이 동반되고 겉으로는 충혈이나 결막부종, 눈꺼풀 부어오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고 해요 유행성 각결막염을 조심해야 하는 이유는 안구건조증이나 시력저하, 눈꺼풀과 결막 유착 등의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눈 이물감이나 통증 등이 느껴지실 경우 지체하지 마시고 바로 가까운 안과를 찾으시는 것을 권장하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일 것 같네요

 


유행성 각결막염 예방법

유행성 각결막염의 예방법으로는 렌즈를 낀 채로 수영을 하지 않기, 눈병 유행 시기에는 수영장 등 사람 많은 곳에 가지 않기, 가족 중 눈병 환자가 있을 경우에는 수건 등을 별도로 사용하기와 같이 우리가 대부분 알고 있는 것들인데요 조금만 신경을 쓰면 유행성 각결막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 기억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아폴로 눈병 (급성 출혈성 결막염)

결막염 중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걸릴 수 있는 것이 급성 출혈성 결막염인데요 아폴로 눈병이라고 많이 알려져 있는 결막염이 이예요 이는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한 1969년 아프리카 가나에서부터 처음 유행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해요

엔테로바이러스(70형)와 콕사키바이러스(A24 Variant형)에 의해 결막이 감염되는 경우 발병되며 아폴로 눈병 환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이나 환자의 분비물로 오염된 손이나 물건 등을 만졌을 경우 전파된다고 하니 참고하셔야 할 것 같아요 그리고 아폴로 눈병도 수영장이나 목욕탕 등에서 물을 통해서도 전파가 되다고 하니 주의하실 필요가 있겠어요

 


아폴로 눈병 증상 (눈 이물감, 통증 등)

아폴로 눈병의 경우는 잠복기가 1~2일 정도로 짧아 감염이 되었을 경우 바로 증상이 발병한다고 보면 돼요 증상으로는 눈 이물감과 통증, 눈물 흘림 등이 있고 겉으로 봤을 때는 충혈, 결막 부종, 눈꺼풀 부어오름 등이 있다고 하니 이러한 증상이 발생했을 때는 꼭 가까운 안과를 찾으시기를 권장드려요

그리고 아폴로 눈병을 조심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합병증인데요 드물기는 하지만 엔테로바이러스 70형에 의한 감염인 경우 발병 후 6~12개월 후 사지 마비 또는 뇌신경 마비가 발생할 수 있으니 정말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겠어요

 


아폴로눈병 예방법

대부분의 결막염 예방법은 동일하다고 볼 수 있어요 항상 손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가정에 환자가 있을 경우 세면도구 등을 구분해서 사용하기, 눈병이 유행할 때는 수영장이나 목욕탕 등 사람 많은 곳에 가지 않기 등 대부분 우리가 조금만 신경 쓰면 잘 지킬 수 있는 것들이니 조금만 조심하자고요^^

 

오늘은 눈 이물감을 동반하는 결막염의 증상과 예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을 다니는 아이들의 경우 주변 어른들이 신경 써주지 않으면 스스로 예방하기가 쉽지 않잖아요 바이러스성 감염병으로 고생하는 아이들이 조금이라도 줄었으면 하는 생각으로 이렇게 정리해 봤어요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오늘도 좋을 하루 되세요

반응형

댓글